Skip to content

Commit 28e0327

Browse files
committed
docs: 우리는 같은 꿈을 꾸었지만, 서로 다른곳에 서 있었다 (이전)
1 parent b49906a commit 28e0327

File tree

1 file changed

+201
-0
lines changed

1 file changed

+201
-0
lines changed
Lines changed: 201 additions & 0 deletions
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
@@ -0,0 +1,201 @@
1+
---
2+
title: 우리는 같은 꿈을 꾸었지만, 서로 다른곳에 서 있었다
3+
createdAt: 2025-04-06
4+
category: Etc
5+
description: 열정으로 시작한 RoomFit 프로젝트는 나에게 첫 창업이자 첫 실패였다. 마음이 잘 맞는 팀원들과 함께 밤을 새우며 꿈을 그렸지만, 현실은 쉽지 않았다. 학업과 창업 사이에서 흔들리며, 자유의 대가로서 책임의 무게를 처음으로 느꼈다. 그러나 그 실패 속에서 나는 관계와 협업, 그리고 나 자신을 깊이 이해하게 되었고, 다시 시작할 용기를 배웠다.
6+
comment: true
7+
---
8+
9+
## 🔥 열정으로 만든 첫 팀
10+
11+
2024년 12월 <br/>
12+
나는 마음이 잘 맞는 친구와 함께 '룸핏' 이라는 룸메이트 매칭 플랫폼을 개발하기 시작했다.<br/>
13+
그 친구는 나처럼 '개발'에 진심이었고, 서로 개발과 관련된 얘기를 할 때면 눈빛이 반짝였던 친구였다.<br/>
14+
15+
<br/>
16+
17+
나는 프론트엔드를, 그친구는 백엔드 개발을 맡았고, <br/>
18+
우리 둘은 무언가 '진짜 재밌는 걸 만들어 보고 싶다' 는 목표와 꿈을 공유하고 있었다.<br/>
19+
크진 않은 돈을 들여 외주 디자이너도 섭외했고, 친한 프론트 친구 한 명도 팀에 들어왔다.<br/>
20+
21+
<br/>
22+
23+
그렇게 우리는 네 명이 되었고<br/>
24+
며칠 밤을 새가며 코드를 작성하고, 누군가는 화면 위에 색을 입히며 며칠 밤을 꼬박 새웠다<br/>
25+
졸면서 자는게 일상이 되었고, 하루가 어떻게 지나가는지도 모를 만큼 바빴다.<br/>
26+
27+
<br/>
28+
29+
기숙사 룸메이트 모집 일정까지 3일 남짓.<br/>
30+
하지만 현실은 너무 벅찼다.<br/>
31+
기능은 돌아가고 최소한의 형태는 갖춰졌지만 우리가 꿈꾸던 '완성'에는 닿지 못했다.<br/>
32+
마지막까지 손봐야 할 부분은 산더미처럼 남아 있었고,<br/>
33+
남은 시간으로는 마무리하기에 턱없이 부족했다.<br/>
34+
결국 프로젝트는 아쉬움을 안은 채 멈춰야 했다.<br/>
35+
36+
<br/>
37+
38+
그래도 우리 네 명은 어느새 '가족' 같아져 있었다.<br/>
39+
서로의 힘듦을 이해해주고, 밤새 대화하며 웃기도 했다.<br/>
40+
41+
<br/>
42+
43+
그러던 중, 함께 개발하던 친구가 말했다<br/>
44+
"이렇게 팀이 잘 맞는 것도 드문데, 창업 한 번 진지하게 해보는 건 어때?"<br/>
45+
46+
그 말에 나는 망설이지 않고 말했다<br/>
47+
48+
> "그래. 하고 싶어."
49+
50+
그리고 그 순간 우리의 창업은 시작했다.<br/>
51+
52+
## 🎢 자유엔 책임이 따른다
53+
54+
나는 늘 ‘하고 싶은 걸 하는 삶’을 살아왔다. <br/>
55+
남들이 정한 길보다 내가 정한 길을 걸어왔고, 그게 나의 자부심이었다. <br/>
56+
57+
그러나 이번 창업을 통해 처음으로 알게 되었다.
58+
59+
> Man is condemned to be free; <br/>
60+
> because once thrown into the world,<br/>
61+
> he is responsible for everything he does<br/>
62+
> 인간은 자유를 향해 내던져졌기에, 자신이 하는 모든 일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 <br/>
63+
> <br/>
64+
> 장 폴 사르트르 (Jean-Paul Sartre)
65+
66+
자유롭게 선택한 만큼, 그 결과에 대한 책임도 내가 짊어져야 한다는 걸. <br/>
67+
특히 '혼자가 아닐 때의 자유'는 더 무겁다는 걸.
68+
69+
## ⏳ 준비되지 않은 확신
70+
71+
나는 학업과 창업을 병행할 수 있다고 믿었다. <br/>
72+
하지만 그것은 준비되지 않은 확신이었다.<br/>
73+
계획도, 실패했을 때의 대비책도 없었다.<br/>
74+
75+
<br/>
76+
77+
팀원들은 각자의 위치에서 온 힘을 다했다.<br/>
78+
한 명은 플러터를 처음 배우며 밤을 새웠고,<br/>
79+
한 명은 디자인을 위해 며칠을 꼬박 새웠으며,<br/>
80+
한 명은 내 상황부터 걱정해주었다.<br/>
81+
82+
> “진짜 학업이랑 창업, 병행할 수 있겠어?”
83+
84+
하지만 나는 그 진심에 답하지 못했다.<br/>
85+
결국 학업과 프로젝트 모두에 집중하지 못한 채,<br/>
86+
불안과 부담 속에서 무너졌다.<br/>
87+
급성 위경련으로 응급실에 갔고, 생애 처음으로 공황장애 진단을 받았다.<br/>
88+
89+
<br/>
90+
91+
결과는 명확했다.<br/>
92+
정부 지원사업은 모두 떨어졌고, 나는 멘탈이 완전히 무너졌다.<br/>
93+
94+
<br/>
95+
96+
## 🌱 모두가 다른 위치에서 같은 꿈을 꾸고 있었다
97+
98+
이제 와서 돌아보니, 우리는 같은 방향을 보고 있었지만 <br/>
99+
각자 서 있는 위치는 달랐다.<br/>
100+
101+
나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졸업을하거나 졸업 요건을 거의 다 채우고 유예 중이었다.<br/>
102+
말 그대로 '올인'할 준비가 되어 있었다.<br/>
103+
104+
하지만 나는 아니었다.<br/>
105+
아직 들어야 할 학점도 많았고,<br/>
106+
그 속에서 학점과 창업을 모두 잡으려 했던 나는<br/>
107+
어느 하나에도 제대로 집중하지 못했다.<br/>
108+
109+
결국 가장 큰 책임을 져야 했던 내가, 가장 무관심한 사람이 되고 말았다.
110+
111+
## 🧠 공황장애, 그리고 나를 돌파하는 시간
112+
113+
공황은 단순한 스트레스를 넘어서 세상이 무너지는 느낌이었다. <br/>
114+
숨이 안 쉬어지고, 모든 게 두려워지고 낮설어졌으며,<br/>
115+
무엇 하나 손에 잡히지 않았다.<br/>
116+
117+
<br/>
118+
119+
처음엔 그 감정이 너무 낯설고 무서워서 혼자 감당하려 했다.<br/>
120+
하지만 결국 나는 부모님께 모든 걸 털어놓았다.<br/>
121+
122+
<br/>
123+
124+
의외였다.<br/>
125+
늘 단단해 보이던 부모님이<br/>
126+
전혀 그런 정신적인 어려움을 겪지 않았을 것 같던 분들이.<br/>
127+
자신들의 아팠던 이야기들을 조심스럽게 꺼내주셨다.<br/>
128+
129+
<br/>
130+
131+
그 속에서 나는 알게 되었다.<br/>
132+
공황은 '피해서 사라지는' 것이 아니라, '내가 돌파해야' 하는 거구나.<br/>
133+
134+
<br/>
135+
136+
그래서 잠시 멈추고 다시 천천히 나를 바라보기 시작했다.<br/>
137+
몰아치듯 달려왔던 삶에서 잠시 멈춰서, 내가 왜 이렇게 힘들었는지를 하나하나 되짚었다.<br/>
138+
감정, 동기, 관계, 불안 등에 대해 배우면서 나 자신을 조금씩 이해하게 되었다.<br/>
139+
140+
## 🌈 실패 그리고 전환점
141+
142+
이번 창업은 결과적으로 실패였다. <br/>
143+
하지만 그 실패는 단순히 "못 해낸 일"이 아니라 <br/>
144+
내가 어떤 사람인지, 그리고 어떻게 살아왔는지를 되돌아보게 한 소중한 전환점이었다 <br/>
145+
146+
<br/>
147+
148+
그동안 나는 확신은 있었지만, 그 안에 책임이 없었고, <br/>
149+
진심은 있었지만, 준비가 부족했다. <br/>
150+
151+
<br/>
152+
그리고 이제는 안다. <br/>
153+
'하고 싶으걸 한다' 는 건 <br/>
154+
무작정 좋아하는걸 쫓는다는 뜻이 아니라 <br/>
155+
그 선택이 만들어낼 결과까지 내가 감당하겠다는 태도라는 걸. <br/>
156+
157+
나 혼자였다면 그 실패는 덜 무거웠을지도 모른다. <br/>
158+
하지만 나는 '함께 하자' 고 말했고, <br/>
159+
누군가의 진심과 시간을 빌려 그 길을 열자고 했던 사람이었다. <br/>
160+
161+
<br/>
162+
그 책임은 결코 가볍지 않았고, <br/>
163+
그 무게를 감당하지 못한 나 자신을 통해 <br/>
164+
나는 비로소 인간관계, 팀워크, 그리고 진짜 협업이 무엇인지 배울 수 있었다. <br/>
165+
166+
<br/>
167+
나는 실패에서 많은 것을 얻었지만, <br/>
168+
그 과정에서 팀원들의 시간과 열정을 갈아 넣었다는 ㅅㅏ실이 계속 마음에 걸린다. <br/>
169+
그 모든 시간과 마음이 <br/>
170+
내 실수와 부족함으로 이어진 실패에 하께 녹아들었다는 게 미안하고 또 미안하다. <br/>
171+
172+
내가 얻은 모든 깨달음은 결코 나 혼자 만든 결과물이 아니었다. <br/>
173+
그건 함께했던 사람들의 진심과 헌신이 잇었기에 비로소 가능했던 '성장' 이었다. <br/>
174+
175+
그래서 나는 그 실패를 <br/>
176+
더는 나만의 실패라고 부를 수 없다. <br/>
177+
그건 우리 모두의 시간과 마음이 담기 이야기였고, <br/>
178+
그만큼 나는 그 마음들까지 기억하며 살아가고 싶다. <br/>
179+
180+
## 🚀 그리고 지금의 나에게
181+
182+
나는 실패를 겪었고, <br/>
183+
감정을 외면하지 않았고,<br/>
184+
소중한 관계를 되짚어 보았고,<br/>
185+
무너졌던 나 자신을 다시 바라보았으며,<br/>
186+
감정을 이해하고 다루는 방법을 배워가고 있따.<br/>
187+
188+
<br/>
189+
190+
완벽하지 않아도 괜찮다<br/>
191+
지금 나는 다시 시작할 준비를 하고 있으니깐<br/>
192+
193+
<br/>
194+
195+
혹시 이글을 읽는 당신도 어떤 실패 앞에 멈춰 서 있다면<br/>
196+
이 명언을 꼭 전하고 싶다.<br/>
197+
198+
> 실패는 사람에게 다시 시작할 기회를 제공한다. <br/>
199+
> 더 현명하게 말이다 <br/>
200+
>
201+
> 헨리 포드 (Henry Ford) <br/>

0 commit comments

Comments
 (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