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Notifications
You must be signed in to change notification settings - Fork 0
22.11.26. Week3 멘토링
클라이언트에서 한번에 리스트를 받아오는 것도 좋은데
나중에 용량이 너무 많으면 통신이 느려질 수 있다.
그리고 서버에 limit이 정해져있을 수도 있다.
그래서 페이지네이션 스크롤 페이징, 인피니티 스크롤과 같이 쓰이는 페이징을 보고 적용해보자
한글이 생각보다 검색 시, 문제가 많은데 event에 isComposing 이런 것도 알아보고
글이 완성 될 때 검색을 한다던지 searchValue를 계속 기록해서 변화가 있으면 검색을 실행시킨다던지,
setText를 디바운싱걸어서 완전히 끝날 때 setText를 하던지.
검색어를 잘 관리해서 완성해서 호출을 하던가
호출 자체를 디바운싱을 한다던가, 이 두가지 측면 비교해서 좋을걸 써보자.
-> 검색어 디바운싱 vs 호출 디바운싱
- NGINX vs 코드 어디서 CORS관리를 해야할까? -> 큰 문제 없으면 코드 상에서 관리하면 좋음
- 키워드 nestJS serve static
- react dev tool이 있는데, 빌드하면 생성되는 dist를 서버에 올리고 라우팅 처리를 적절하게 하면 된다.
- 이걸 적용하면 운영에서는 같은 서버에서 올려지는거기 때문에 CORS에러가 나지 않을 것이다.
- 물론 MSA처럼 분리하면 고려해야겠지만, 하나에 올리면 대부분의 CORS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.
메인페이지 진입시 API를 두개 정도 받아오는데
요청이 각각 가게 되는데, 한 페이지에서 날리는 api는 하나로 해서 Y자로 가져오는게 더 좋을 것 같다라는 판단이 안든다.
하나의 api로 하나의 데이터를 가져올 때의 장점 -> 명확함
두개를 같이 보낼 때 -> GraphQL의 느낌
API통신에서 가장 비용이 많이 드는건 connect disconnect 비용이 제일 크고 send는 작다.
옛날에는 그렇기 때문에 한방쿼리를 많이 했다. 한번에 많이 다 보내버리는..
이렇게 되면 유지보수가 굉장히 힘들다.
요새는 GraphQL이 중간에서 처리
단점은 명확하지가 않음.
api명세 뿐만 아니라 graphQL 명세도 입력해야한다.
이 아이디어가 왜 나왔냐면
페이스북에서 모바일을 사용하면 퍼팅을 하기위해 api를 엄청 많이 불러와야 되는데,
한번에 받는게 무조건 싸다. 그래서 graphQL로 한번에 한다.
장점 : 하나의 endpoint, 자유도가 높음.
단점 : 파일 업로드 불가, 그리고 너무 방대해서 명확함이 없다.
nest가 GraphQL을 잘쓰게 만들어놨다.
-
글로벌 사업을 준비하면서 나온 문제점 : server에서 server까지의 물리적 거리에 속도가 크게 영향을 받는다.
해외에서 api요청을 10개를 하면 10번이나 느린 api를 전송하게 되는데, graphQL을 적용하면 한번만 보내면된다. -
글로벌 서비스, 모바일 서비스 환경에서는 쓸 확률이 높을 것 같음.
-> ngrinder (자바?)
스트레스 테스트는 예방의 차원이다.
- 잔디 칠하기 같은 백엔드처리, 프론트 처리 각각 방법이 다른데 이런 방식에 대한 고민.
프론트는 화면 동작에 집중하는 것이 좋을 것 같고 백엔드는 로직에 집중하면 좋을 것 같다. - 백엔드에서 로직을 만들어줄 수 있는 것을 고민하는 좋을듯.
같은 상황 속에서라도 로직이 복잡해질 수도 있는데 더 잘하는 방법에 대한 고민. - 시간이 남으면 stress test 보다는 redis가 좋아보임
가정을 해서(쿼리에 딜레이를 5초씩 걸어서 해본다던지) 진행을 해봐도 좋을듯.
- 눈누 -> 상업적 사용 가능 폰트 모음
- 프리텐다드
- Date 객체가 내 PC 날짜를 참조하는거였어..?
- FrontEnd 성능 개선기
- Google OAuth 프론트 연계
- HTTPS 보안 등급 A+ 받기
- URL Parameter routing 트러블 슈팅
- Immer.js 도입기
- Request Header의 특정 헤더값이 확인이 안되는 경우
- FrontEnd 성능 개선기 두번째 (네트워크 Waterfall 발생)
- 실시간 알림을 위한 SSE 도입기
- Fitory 검색페이지 개발 & 성능 개선기
- Index를 이용한 DB 성능 개선 일지
- Full Text Search를 이용한 DB 성능 개선 일지
- 22.11.09. Week1 멘토링
- 22.11.11. Week1 마스터클래스 리뷰
- 22.11.16. Week2 멘토링
- 22.11.26. Week3 멘토링
- 22.11.30. Week4 멘토링